본문 바로가기

ISO 216은 *국제 표준화 기구(ISO)*가 제정한 종이 크기 표준입니다.

kcyland 2025. 8. 14.
반응형

ISO 216은 **국제 표준화 기구(ISO)**가 제정한 종이 크기 표준입니다.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되며, 특히 A, B, C 시리즈로 분류되는 용지 크기를 정의하고 있습니다. 그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이 A 시리즈, 특히 A4 용지입니다.


🔹 ISO 216의 주요 내용

1. A 시리즈 (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됨)

  • A0를 기준으로 시작하며, 크기를 절반씩 접는 방식으로 A1, A2, ..., A4, ... 순으로 작아집니다.
  • **A0의 면적은 정확히 1 제곱미터 (1m²)**입니다.
  • 각 단계는 가로:세로 비율이 √2:1로 유지됩니다.
    예: A4 = 210mm × 297mm

이름 크기 (mm) 크기 (cm)

A0 841 × 1189 84.1 × 118.9
A1 594 × 841 59.4 × 84.1
A2 420 × 594 42.0 × 59.4
A3 297 × 420 29.7 × 42.0
A4 210 × 297 21.0 × 29.7

2. B 시리즈

  • A 시리즈보다 약간 더 큼.
  • 포스터, 책 표지 등에 자주 사용됨.
  • A 시리즈보다 넓은 범위의 크기를 제공.

3. C 시리즈

  • 주로 봉투 크기로 사용됨.
  • 예: A4 문서를 넣을 수 있는 C4 봉투 = 229mm × 324mm

🔹 ISO 216의 장점

  • √2:1 비율 덕분에 종이를 절반으로 접거나 확대/축소 인쇄해도 비율이 유지됩니다.
  • 전 세계에서 거의 동일한 규격을 사용하므로 문서 교환에 편리합니다.

📌 참고

  • 미국, 캐나다, 멕시코 등은 ISO 216을 사용하지 않고, 레터(Letter, 8.5"×11") 등의 미국식 규격을 사용합니다.

 

ISO 216 A 시리즈 종이 사이즈

 

 


ISO 216의 주요 내용 요약

  • A 시리즈 (가장 널리 사용됨)
    • A0는 면적이 **정확히 1제곱미터 (1 m²)**이며,
    • 각 시리즈는 **가로:세로의 비율이 √2:1 (약 1.414:1)**로 일정합니다. 이 때문에 절반으로 접어도 같은 비율을 유지함(Engineering ToolBox, 위키백과).
    • 예: A1 = A0의 절반, A2 = A1의 절반, … A4 = A3의 절반 (210 × 297 mm)(Engineering ToolBox, 위키백과).
  • B 시리즈
    • A 시리즈와 A 시리즈 바로 상위 크기 간의 기하평균 (geometric mean) 크기입니다.
    • 예: B1은 A1과 A0 사이의 크기로, 포스터 등 중간 크기 용도로 사용됩니다(Engineering ToolBox, 위키백과).
  • C 시리즈 (봉투 용도)
    • B 시리즈와 A 시리즈 같은 번호의 크기 간의 기하평균 크기입니다.
    • 예: A4 문서는 C4 봉투에 들어가며, A5는 C5, A6는 C6에 들어갑니다(Engineering ToolBox, 위키백과).
  • 비율의 장점
    • √2:1 비율 덕분에 인쇄 축소·확대 시 비율이 유지되어, 효율적이고 깔끔한 출력이 가능합니다(위키백과).

주요 크기 표

아래는 대표적인 A, B, C 시리즈의 크기를 정리한 표입니다:

시리즈 크기 치수 (mm) 치수 (inches)

A0 A0 841 × 1189 33.1 × 46.8
A1 A1 594 × 841 23.4 × 33.1
A2 A2 420 × 594 16.5 × 23.4
A3 A3 297 × 420 11.7 × 16.5
A4 A4 210 × 297 8.3 × 11.7
B0 B0 1000 × 1414 39.4 × 55.7
B1 B1 707 × 1000 27.8 × 39.4
B2 B2 500 × 707 19.7 × 27.8
C0 C0 917 × 1297 36.1 × 51.1
C1 C1 648 × 917 25.5 × 36.1
C2 C2 458 × 648 18.0 × 25.5
C4 C4 229 × 324 9.0 × 12.8
C5 C5 162 × 229 6.4 × 9.0

(위키백과, Engineering ToolBox)


 

반응형

댓글